영화 "비 오는 날 수채화"는 1990년에 개봉한 한국의 멜로 영화로, 영화 클래식,엽기적인 그녀등 멜로 영화로 유명한 감독 곽재용의 데뷔작입니다. 이 영화는 고아원에서 자란 주인공 지수의 성장과 사랑을 다루고 있습니다. 비 오는 날의 감성을 잘 담아낸 이 영화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화 OST까지 깊은 추억의 영화로 남았습니다.
장르: 로맨스,멜로
감독: 곽재용
각본: 곽재용
제작: 윤강혁
출연: 강석현,옥소리,이경영,신성일,김영옥,방은희 외
제작사: 청기사 그룹
개봉일: 1990년 2월 17일
상영 시간: 124분
서울 관객수: 64.538명
상영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영화 소개 및 배경
"비 오는 날 수채화"는 강석현,옥소리,이경영이 주연을 맡아 열연한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고아원에서 자란 지수가 지방 유지의 집으로 입양되면서 시작됩니다. 그때 한 친구가 하모니카를 부르며 지수를 배웅해 줍니다. 이 장면은 영화의 감성을 잘 전달해 주며, 이후 지수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줄거리 요약
비 오는 날 고아원에서 지수(강석현)은 지방유지의 집으로 입양되고, 그때 한 친구가 하모니카를 부르며 지수를 배웅해줍니다.
사춘기에 방황하는 지수는 양부(신성일)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방황을 하고, 그 집에서 유일한 위안은 여동생 지혜(옥소리)였습니다. 결국 지수는 양부의 바람대로 신학교에 입학하게 되고, 거기서 룸메이트 천호(이경영)을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천호의 고아원 동기인 술집 접대부로 일하는 경애(방은희)를 알게 됩니다. 지방 미대에 입학한 지혜와 떨어져 있는 동안에 사랑은 더욱 절실해지고 경애는 지수에게 접근하려다 지혜의 벽에 부딪히자 히로뽕에 손을 댑니다.
지혜와 결혼하겠다는 결심은 양부의 분노를 사고, 집에서 쫓겨난 지수는 경애가 일하는 술집 종업원으로 일합니다.
경애가 임신을 하게 되자 지수는 경애를 술집에서 구해내려 하고, 다른 웨이터가 이를 오해해서 지수가 경애를 임신시켰다고 말을 하자 술집 주인은 지수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그 와중에 지수가 술집 주인을 찔러 죽이게 됩니다.
인정받지 못한 사랑의 무게로 지혜는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지혜를 만나러 간 지수에게 양부는 비수를 찌르는 말을 합니다.
결국 둘은 정신병원에서 만나지만 서로에 대한 안타까움만 확인하게 됩니다........(이하 생략)
주제와 갈등 요소
이 영화의 주제는 사랑과 상실, 그리고 정체성의 탐구입니다. 지수는 양부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또한, 지수와 여동생 지혜(옥소리)와의 관계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면서 갈등을 일으키죠.
이들은 서로를 사랑하지만, 다른 핏줄임에도 불구하고 가족이기에 힘들어하는 과정을 그립니다. 이러한 부분이 영화의 감정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줍니다.
시사하는 점
"비 오는 날 수채화"는 단순한 멜로 영화가 아닙니다. 이 영화는 가족의 의미와 사랑의 복잡함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아원에서 자란 지수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주기도 합니다. 또한 영화는 비 오는 날의 우울한 분위기를 통해 인생의 고난과 역경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주었으며, 각자의 삶을 돌아보게 만듭니다.
개인 소감 및 마무리
영화를 보고 난후, 지수의 삶이 참 안타깝고 가여웠습니다. 참 예쁘고 잘생긴 배우님들의 연기도 아름답게 표현되어 예쁜 장면을 보면 영화같다라는 표현은 이 영화를 보며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영화 " 비 오는 날 수채화"는 처음부터 새드엔딩까지 참이나 슬픈 이야기로 감성을 건드리는 작품이었습니다.
그러나 영화의 모든 장면이 수채화처럼 아름답게 그려진 그래서 영화의 분위기와 잘 어울렸던 OST도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곡이지요.
비 오는 날 수채화 가사 -김현식,권인하,강인원
빗방울 떨어지는 그 거리에 서서
그대 숨소리 살아있는 듯 느껴지면
깨끗한 붓 하나를 숨기듯 지니고 나와
거리에 투명하게 색칠을 하지
음악이 흐르는 그 카페엔 초콜렛 색 물감으로
빗방울 그려진 그 가로등불 아래 보라색 물감으로
세상사람 모두다 도화지 속에 그려진
풍경처럼 행복하면 좋겠네
욕심많은 사람들 얼굴 찌푸린 사람들
마치 그림처럼 행복하면 좋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