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허준>_명작 드라마 1999

by 불후의명작 2025. 4. 28.
반응형


<허준>은 1999년 11월 22일부터 2000년 6월 27일까지 방송되었던 MBC월화 드라마입니다.

 

<허준>
장르: 사극
방송채널: MBC
방송기간: 1999년 11월 22일~2000년 6월 27일
방송시간: 매주 월,화요일 밤 9시 55분
방송분량: 60분
방송횟수: 64부작
원작: 이은성의 소설 "소설 동의보감"
기획: 이병훈
연출: 이병훈,이정표
각본: 최완규
출연자: 전광렬,황수정,홍충민,김병세,임현식 외

등장 인물

  • 전광렬: 허준 역
  • 이순재: 유의태 역-허준의 스승
  • 황수정: 유예진 역
  • 홍충민: 이다희 역-허준의 부인
  • 김병세: 유도지 역-유의태의 아들
  • 정혜선: 허준의 어머니 손씨 역
  • 오태경: 허준의 아들 허겸 역
  • 주현: 허준의 아버지 허륜 역
  • 임태호: 천양태 역
  • 이희도: 구일서 역
  • 김해숙: 함안댁 역
  • 최은주: 구일서의 딸 구언년 역
  • 윤기원: 구일서의 사위 언년이 남편 장만덕 역
  • 박정수: 유의태 부인 오씨 역
  • 조현숙: 유도지의 부인 권숙정 역
  • 임현식: 임오근 역
  • 이숙: 하동댁 역
  • 신국: 꺽쇠 역
  • 문용민: 장쇠 역
  • 이은철: 영달 역
  • 나성균: 부산포 역
  • 차윤회: 한상 역
  • 조경환: 어의 예수그리스도 역
  • 박종관: 판관-당상관 정작 역
  • 홍성선: 봉사-판관 이명원ㅇ 역
  • 박광남: 판관-참정 김응택 역
  • 문회원: 주부 송학규 역
  • 맹상훈: 봉사-직장 유의 김만경 역
  • 정호근: 봉사-주부 정태은 역
  • 정승호: 참봉-주부 장학도 역
  • 엄유신: 어의녀 덕금 역
  • 최란: 내의녀-어의녀 홍춘 역
  • 김혜정: 내의녀 소비 역
  • 김은수: 의녀 개금 역
  • 성현아: 의녀 소현 역
  • 이현경: 의녀-내의녀 세희 역
  • 이주희: 의녀 채선 역
  • 고정민: 의녀 채령 역
  • 이잎새: 의녀 온지 역
  • 이승아: 의녀 옥정 역
  • 김영: 혜민서 서리 김씨 역
  • 오정석: 혜민서 도약사령 역
  • 박찬환: 선조 역
  • 박주미: 공빈 김씨 역
  • 장서희: 인빈 김씨 역
  • 홍은희: 인목왕후 역
  • 김승수: 광해군 역
  • 한지훈: 이순신 장군 역
  • 정욱: 김민세(삼적대사)역
  • 한인수: 안광익 역
  • 변희봉: 성인철 대감 역
  • 윤여정: 성인철의 처 역
  • 그외 다수

줄거리

드라마 <허준>은 조선시대의 실존 인물인 명의 허준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의학 역사 드라마로, 한 서자 출신의 청년이 명의가 되어 백성을 살리고 마침내 "동의보감"을 집필하게 되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초반 허준은 평안북도 용천군수의 서자로 태어나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천민 신분의 굴레와 사랑,배신,도망의 고난을 겪습니다. 번역죄인의 딸인 다희와 사랑에 빠지지만, 약초 밀거래로 인해 법을 어기고 도망자가 되어 경상도 산음으로 피신하게 됩니다.

그곳에서 명의 유의태를 만나며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허준은 물지게를 지며 유의태의 제자가 되는데, 단순한 의술의 기술을 넘어 인간을 위하고 병자를 긍휼히 여기는 의(醫)의 본질을 배우게 됩니다. 이후 유의태가 암에 걸려 사망하면서 허준은 그의 시신을 해부해 연구함으로써 의학적 지식을 체계화하기 시작합니다.

허준은 내의원이 주관하는 의과에 합격해 궁중의 어의가 되어 승승장구하지만, 권력과 명예가 아닌 백성을 위한 의술을 고민하게 됩니다. 이후 유배지에서 동양의학의 정수라 불리는 "동의보감"을 완성하며,인생의 마지막을 백성을 위한 삶으로 마무리 합니다.

주제

  • 의술은 곧 인술: 사람을 살리는 기술이 아닌, 사람을 위한 마음이 의술의 본질임을 강조합니다.
  • 신분과 차별을 넘어선 인간애: 조선시대의 신분제 사회에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지켜야 함을 드러냅니다.
  • 지식과 도덕의 조화: 뛰어난 의술만이 나니라, 올바른 윤리와 도덕이 함께할 때 진정한 명의가 됨을 보여줍니다.
  • 자기 희생과 봉사정신: 허준의 삶은 자신을 낮추고 백성을 높이는 삶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갈등 요소

  • 개인 내면의 갈등: 허준은 자신의 신분과 뜻 사이에서 늘 고민하며,권력과 양심의 기로에 서게 됩니다.
  • 사회적 갈등: 천민 출신 의사로서 겪는 차별,유도지 등 기득권 세력과의 경쟁이 계속됩니다.
  • 제자와 스승의 갈등과 이해: 유의태는 처음에 허준을 멀리하지만,점차 그를 인정하고 후계자로 받아들입니다.
  • 사랑과 현실의 갈등: 허준과 다희의 사랑은 시대적 배경과 신분 차이 속에서 끊임없이 도전을 받습니다.

드라마가 시사하는 점

  • 의료인의 자세: 현재의 의료인에게도,기술만이 아닌 윤리,인간애,공감능력이 중요함을 상기시킵니다.
  • 공공의료의 가치: 권력이 아닌 민중 곁에서 의술을 펼친 허준의 삶은 공공의료의 본질을 되짚게 합니다.
  • 지식의 국산화: 동의보감의 집필 과정은 우리 문화와 의학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역사적 성과로,현대에도 국산기술,국산학문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 인간 존엄의 철학: 설이학 중심 사회에서조차 해부,신체에 대한 연구를 감행한 점은 인간을 위한 실용적 사고와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마무리 및 개인 소감

드라마 <허준>은 단순한 성공의 명의 이야기가 아니라, 삶의 의미와 인간의 존엄을 다시 묻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유의태와의 만남,스승의 해부 장면, 동의보감 집필 등은 감정과 철학을 동시에 건드리는 장면들이었습니다.

전광렬 배우의 내면 연기, 이순재 배우의 묵직한 존재감,예진아씨 황수정 배우의 섬세한 감정선 등은 드라마를 단순한 시대극이 아닌, 삶과 죽음,사랑과 헌신을 그린 작품으로 끌어올렸습니다.

허준의 삶은 시대를 뛰어넘어 지금 우리에게도 묻습니다

"당신은 지금, 누구를 위해 살고 있는가?"

 

반응형